본문 바로가기

나름 위로가 될 글

"밈" 뜻을 정확히 알아 보자.

"밈"의 뜻을 알아 보자.

 

조금은 무거운 내용이 될 수도 있지만 최대한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.

그래도 정확한 뜻을 알아야 누군가 밈에 대해 물을 때, 밈이 정확히 무엇인지 말해 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.

우선 2020년 신조어가 된 '밈(meme)'은 사실 1993년 리처드 도킨스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해도 무방합니다.

리처드 도킨스는 자신의 저서인 '이기적인 유전자'에서 "진화는 DNA의 복제를 위한 것일 뿐,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."

그리고 "인간도 지구에 존재하는 다른 어떤 종류의 생명과 다름없이, 단지 DNA의 자기 복제를 위한 기계(도구)에 지나지 않는다."라는 말을 하며 마지막 목차에 밈에 대한 정의를 내렸습니다.

 

 

그 정의는

"DNA가 자기 복제를 하며 진화하는 것처럼, 밈은 문화가 보여주는 파생력과 자기복제의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."

그 밈의 어근으로는 모방과 문화 전달의 단위인 그리스어 '미멤 mimeme'과 '진 gene(유전자)'의 단어와 발음이 유사한 단음절이라고 표현합니다. 그리고 그렇게 하기 위해 단어를 밈 meme으로 줄입니다.

 

 

더 쉽게 설명해 보자면 밈은 그냥 비유되는 것이 아니라 엄밀히 말하면 살아 있는 구조로 간주해야 한다.라고 밝힙니다.

부처님을 믿는다든가, 하나님을 믿는다 하는 생각(믿음)은 모두 그들이 내 머리에 번식력 있는 밈을 심어 놓다는 것으로 간주하고, 말 그대로 그들이 내 뇌에 기생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.

또한 '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'도 신경계 속에 하나의 구조로서 존재하고 있다고 말합니다.

 

밈의 뜻

 

생각 또는 기억 등의 것들을 '밈'이라고 이름 붙이고 그에게 생명을 불어 넣었습니다.

 

또 그는 "다른 사람들은 신이라는 밈의 생존은 강력한 심리적 매력이 있다는 것에만 만족하지 못하고 왜 밈이 심리적 매력을 갖기 원하는가를 알고 싶어 한다.", "밈이 심리적 매력이라는 것은 뇌에 작용하는 매력이고 뇌는 유전자 풀 속의 유전자에 작용하여 자연 선택의 영향을 받는다."라고까지 말합니다.

 

그리고 리처드 도킨스에 의하면 밈은 그 무엇이든 정당화시킬 수 있습니다.

또한 밈은 특유의 잔인한 방법을 통해 스스로 번식해 갑니다.

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애국적 맹신, 정치적 맹신, 종교적 맹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.

그리고 리처드 도킨스는 공적응된 유전자 복합체가 진화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밈의 복합체가 진화한다고 추측합니다.

 

밈 문화적 돌연변이

 

 

2020년 밈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특정한 문화 요소와 콘 텐츠를 이르는 말입니다.

인터넷 보급 전에는 문화적 돌연변이로 치부했다면 인터넷 보급 후에는 새로운 문화의 전파를 이르는 말이 되었습니다.

 

조금은 어려운 내용이 될 수도 있지만 위에 밑줄 그은 한 줄로 최대한 쉽게 설명 될 것 같습니다.